 |
일반 |
University of Michigan, Document Center |
Michigan 대학 문서센터가 운영하는 사이트로 외교정책, 군사, 의회
및 정당 등 국제정치와 관련된 많은 분야들의 사이트 를 소개하고 있으며, 그 중 외국정부 기구와 문서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매우 포괄적이며, 일부는 중복되기도
하지만, 국제정치와 관련된 일반적 정보들을 제공하며, 주제별로
개별 국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도움이 된다. Foreign Government Resources on the
Web은 주제별, 지역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지역(대륙)으로 들어가면 다시 개별 국가로 들어갈 수 있게 해 놓았다. 그밖의
외국 국가들에 대한 관련 정보들도 제공하고 있는데, 배경지식으로서 헌법, 법률 및 조약들, 대사관, 신문, 각종 통계 자료들도 접근 가능하며, 국제기구 및 정치학에 관련된
사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International Agencies and
Information on the Web에서는 IAEA 등
주요 국제협정(협약), NATO 등 국제기구 (기관)을 알파벳순으로 검색하여 접근가능하며, 관련 기구의 홈페이지 및 문서들을 살펴볼 수 있다. Political Science Resources
Area Studies는 냉전 등 주요 이슈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연구, 국제정치, 정치이론 등 관련 분야로 구분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학위논문과 인터넷 안내도 별도로 구분되어 포함되어 있다. Government Resources on the
Web은 연방, 주 정부, 국제기구, 외국정부, 정치학 및 통계 자료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에 대해서는 간단한 설명이 곁들여져 있다. 그리고 홈페이지에 최근 유고슬라비아 선거 등 각국의
선거 결과와 정당 등에 대해서 별도로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
|
 |
Political Resources on the Net |
세계 각국의 정부, 정당, 기구 등 정치 관련 사이트들을 소개하는 사이트로서 매우 포괄적이고 비교적 최근 상황까지 추가하고 있다. 홈페이지의 좌측에 ‘금주의 정치 사이트’라는 면을 두고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는 사건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정부기관, 정당, 각종 정치·사회
운동, 선거, 미디어 등으로 세분하여 관련 기관들에 연결할
수 있게 해 놓았는데, 매우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북한의 공식 사이트도 소개되어 있다.
|
|
 |
Foreign Government Information at University of Colorado |
콜로라도 대학 도서관과 연계되어 운영되며, 외국의 국제적인 웹사이트와 출판물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홈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게 해 놓았다. 주요 내용은 미국 관련 자료들, 외국 및 국제적인 자료들, 인터넷 정보자료, 전자 정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중 인터넷 정보자료에서는 주제별, 분야별로 관련 자료 및 가이드가
제공된다. 특히 국제 자료(International
Resources)에서는 개별 국제 기구에 직접 연결할 수 있고, 국제 기구 일반에 관련된
자료 및 가이드도 제공하고 있다.
|
|
 |
The WWW Virtual Library International Affairs Resources |
Elizabethtown College가 운영하는 사이트로서 약 2000여
개에 달하는 국제 문제 관련 토픽들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 께 링크를 제공하고 있다. 크게 미디어
정보(방송, 뉴스 포함),
조직(미국 정부, 비정부기구, 유럽연합, 연구 기관, 유엔, 기타 국제 기구들), 지역과 국가,
토픽 등으로 나뉘어 있다. 토픽의 경우 국제경영 및 무역부터 미국 외교정책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으며, 미국 외교정책의 경우 관련 자료 및 보고서 등에 접근 가능하다.
|
|
 |
 |
미국 |
The White House |
미 백악관 홈페이지의 구성은 대통령, 뉴스, 역사, 어린이용, 관광, 행정부 안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점(In Focus)에 서는 대통령의 최근 연설 등을 비롯하여 주요 보도자료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백악관의 최신 소식을 접하기에 가장 좋은 사이트이다.
|
|
 |
U.S Government |
미국의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 등 모든 정부기관을 온라인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홈페이지로서, 미국의 주요 정부 기구과 이에 관련된 정보들을 검색하고 개괄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좌측에는 기관별로 미국의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에 접근가능하며, 주
정부와 지방 정부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에는 주제별로 농업, 재무, 경영, 환경, 에너지, 보건, 미국 예산, 과학기술, 공공서비스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
|
 |
U.S Department of State |
미 국무부의 홈페이지는 국무부 안내, 언론과 공공업무, 국가 및 지역, 국제토픽 및 이슈,
역사, 교육과 문화, 여행과 해 외생활, 비즈니스 센터, 기타 서비스, 고용, 그리고 주요내용(highlights)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무부 안내는 국무장관 소개, 국무부 소개, 대사관과 영사관, 부처 소개로 짜여져 있다. 언론과 공공업무는 언론 자료 배포와 언론 브리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국가 및 지역에서는 해당 국가 정보를 검색하려면, 먼저 지역별로 들어가서 알파벳순으로 검색한다. 한반도의 경우에는 ‘East Asia and the Pacific’으로
들어가서 North Korea, South Korea를 누르면 관련 자료를 살펴볼 수 있다. 국제토픽 및 이슈는 인권과 국제마약을 비롯하여 광범위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
|
 |
U.S Department of Defense |
미국 국방부의 홈페이지로서 국방뉴스, 특별보고서, 국방 사이트, 미군뉴스로 구성되어 있다. 국방부의 보다 자세한 내용을 소개하기 위해서 국방부 입문, 국방부
관광, 오늘의 군, 국방장관 연례 보고서, 국방부 연감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
 |
U.S Department of Commerce |
미국 상무부에 대한 기본 지식을 획득하고 관련 조직을 검색하는데 가장 좋은 사이트이다. 최근 경제지표, 상무부내 부서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다양한 자료들이 제시되어 있고 검색 기능을 갖추고 있다. 최근 이슈와
소식이 신속하게 사이트에 올라온다. 특히 미국의 통상 정책 자료나 전자 상거래 문제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검색해야 할 사이트이다. 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온라인 도서관도
갖추어져 있다.
|
|
 |
 |
중국 |
중국 중앙인민정부 |
사이트에는 당정서열별 부처, 법원, 민주당파, 공회와 청년회, 행정구역별, 주제별로 중국의 각 부처와 지방의 행정기구들이 연결되어 있고 각 단위의 소식을 전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정책 추진 상황, 정책법규들과 정부공지사항이 연결되어 있는
이 사이트는 60여 개의 중앙부서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
|
 |
중국 외교부 |
중국외교부의 홈페이지로서 중국어와 영어로 검색가능하다. 구성은
중국 외교부의 조직과 활동 소개, 외교정책 소개, 대만-중국간 관계, 쌍무관계, 해외공관
안내, 배경 자료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주요
이슈는 날짜별로 추가 되고 있어서 중국 정부의 입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
|
 |
China.org.cn (구, 中國互聯網新聞中心) |
이 사이트는 중국의 정치, 대외관계, 경제 및 무역, 문화와 교육, 스포츠, 기술 등 사회 전 분야의 다양한 소식들을 접할 수 있는 중국내 사이트로서, 영어, 불어, 독어, 중국어, 일본어 등으로 접근가능하다. 국무원신문판공실 기자회견문을 비롯하여
중국의 국토와 자원, 행정기구, 역사, 인구와 소수민족, 정치체계, 국가기구, 정당과 사회기관, 외교정책에 관한 간단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공보, 베이징리뷰, China News and Report 등의 간행물의 전문과 함께, 5개년계획, 중국인권, 소수민족정책, 국방, 대만문제, 환경, 지적재산권
등의 주제에 관한 중국정부의 백서를 올려 놓고 있다. 법륜공과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특별 보고서와
다양한 사회적 주제들에 대한 정부의 웹사이트를 비롯하여 중국 각 성의 정부들을 링크시켜 놓고 있다.
|
|
 |
國務院機構設置及組成人員 |
人民日報가 운영하는 사이트로서 중국의 국무원 기구와 간부 명단, 그리고
외교부, 국방부, 국가발전계획위원회 등 국무원 산하 부서, 국무원 직속기구 등의 기구구성과 인적 현황을 중국어로 검색할 수 있다.
|
|
 |
中國統計信息網 |
중국 국가통계국의 사이트로서 중국어와 영어로 검색 가능하다. 최근
중국내 행정부서와 경제부서에서 실시한 조사 자료들을 볼 수 있으며, 중국통계연감 96∼99과 국제통계연감 96∼98을 살펴볼 수 있다.
|
|
 |
 |
일본 |
行政情報 總合案內 |
이 사이트는 일본의 각 성청이 제공하고 있는 행정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각 성청의 행정정보의 소재와 입수방법을 종합적으로 검색하는 클리어링 검색과 각 성청의 홈페이지를 종합적으로
검색하는 홈페이지검색(영어검색포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성청 재편에 따른 안내와 더불어 각 성청의 홈페이지를 연결시켜 놓고 있다.
|
|
 |
首相官邸 |
이 사이트는 일본어와 영어로 접근가능하며, 총리를
중심으로 한 최근의 소식과 함께 내각의 구성원들을 알아볼 수 있고 총리의 연설문, 1996년부터의 정부백서, 각의 안건, 관보, 정부통계자료, 각의결정시책의 해설, 심의회, 중앙성청개혁, 사법제도개혁심의회, 밀레니엄 프로젝트, 교육개혁국민회의, IT 전략회의,
「일본신생」회의, 관공서의 연결을 찾아 볼 수 있다. 과거
경제기획청의 자료는 이 사이트의 경제재정정책 홈페이지, 국민생활행정 홈페이지, 경제사회총합연구소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
 |
內閣府 |
내각부는 과거의 총리부 본부, 경제기획청, 오키나와 개발청 등의 사무를 재통합해서 내각기능강화를 위해 내각총리대신의 기관으로 새롭게 설치되었다. 이 사이트는 시책소개, 내각부의 개요, 신착정보, 심의회, 백서, 경제통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外務省 |
일본 외무성의 사이트는 영어와 일본어로 검색가능하다. 영어
홈페이지를 검색하면, 그 내용은 최근 관련 기사 소개, 일본
외무상 등 주요 인사의 연설문 소개, 외교정책 소개(항목별
구분), 경제분야 소개(항목, 기구별 구분) 및 지역문제(대륙별
구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권문제, 외국 정부 수반의 방일 등 주요 현안 이슈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클릭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일본 외교정책과 관련 자료를 검색하는데 유용하다.
|
|
 |
 |
러시아 |
Russian Ministry of Finance |
러시아 재무성의 홈페이지로서, 거의 대부분이 러시아로
작성되어 있으나 다음 부분은 영어로 접근가능하다. 공식정보
(Official Information)에서는 날짜순으로 관련 정보 사항이 게재되며, 거시경제정책, 그리고 전문가 그룹에 의해 제공되는 재정분야정보 항목 등이 접근가능하다.
|
|
 |
The Central Bank of the Russian Federation |
러시아 중앙은행의 공식 웹사이트로서 러시아어로 작성되어 있다.
홈페이지 주소에 /eng를 추가할 경우 영문버전으로 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중앙은행의 역사와 현황 및 그날그날의 새로운 소식이 추가되므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러시아의 은행제도와 연례보고서에 관한 소개도 나와있다.
|
|
 |
 |
유럽 |
European Commission (유럽연합 집행 위원회) |
유럽연합 집행 위원회는 정책 관련 법안을 제안, 예산의 관리, 집행, 대외적인
활동의 대표 기능을 하는 등 한 국가의 행정부에 해당하는 기관으로서, 유럽연합 내 최고 정책 결정 기구인
각료 이사회나 유럽 이사회에서 논의될 문제들을 준비하고 거기서 결정된 사항의 집행을 감독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유럽연합 집행 위원회의 관련 기사, 스케쥴, 역할, 전략적 목표, 실행
프로그램, 내부 구조 조정 등에 대해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의장 연설, 프로필 등이 제시되어 있는 사이트를 직접 링크시키고 있고,
회원국가의 대표, 전세계에 포진해 있는 대표단 소식과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덧붙여, 공식 자료(녹서, 백서, 실행 프로그램, 가이드
라인, 활동 계획과 그에 대한 일반 보고서, 각서, 보조금과 차관 등)도 올려져 있으며, 최근 실행 현황, 새로 제기된 입법안, 회원국 법령을 아크 로바트를 이용해 열람할 수 있고, 유럽 의회와
이사회 자료에도 접근할 수 있다.
|
|
 |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이사회) |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은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정상들의 모임으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최고의 정책 결정 기구인 유럽 이사회, 그리고 입법을 담당하는 각료이사회(Council of Ministers)로 구성되어 있는데, 유럽연합의
정책 결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며 사실상 입법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사이트에서는 최근 소식과
착수할 사업에 관한 정보, 스케줄, 의안, 위원회 활동에 대한 간략한 보고와 문서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조약과 협약에 대한 온라인 상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개별 언어를 이용하여 검색이 가능하고 이를
알맞는 용법으로 변화시켜주기도 한다. 또한 개별 정부에 온라인 상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CFSP(공동외교안보 정책), JHA(사법내무분야의 협력), EMU(경제정책상의 협력), COST(과학기술연구분야의 협력)와 같은 정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
European Parliament (유럽 의회) |
유럽의회가 운영하는 사이트이며, 유럽의회는
연합 회원국에서 선거로 선출하여 구성되는 세계 유일의 초국가 의회로 자문의 기능이 가장 중심적이며 그밖에 협력과 공동 절자, 동의, 예산 조정 등의 기능을 일부 수행하고 있다. 실질적인 입법권한은 각료 이사회나 유럽 이사회가 담당하고 있으며, 예산이나
인사 문제에 대한 유럽의회의 통제권 역시 강력하지 못하다. 본 사이트는 주로 유럽의회의 활동, 간략한 개요와 간행 문건에 대한 정보, 그리고 회원국의 외회와의
관계에 대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참고 자료로 정책, 기본
문서 와 조약, 절차 실행 시 규율, 공식 저널과 연구 자료
등을 올려놓고 있다.
|
|
 |
European Court of Justice and Court of First Instance (유럽 법원) |
유럽연합의 법률을 해석하고 법적 규정을 회원국가에 적용시키며 조약의
해석과 이행을 보증하는 사법 기구이다. 이 사이트는 관련 사설과 정보,
최근의 판례, 연구 및 문서, 도서관, 기구에 관한 문서 등의 범주로 짜져 있다. 현재 구축중인 데이터베이스가
상당수 있고, 기존 문서 중 최근 것은 불어로 정리되어 있으나, 기구
문서 등은 잘 정리되어 있다. 특히 “Press and
Information”을 클릭하면 비교적 최근의 판결 등이 자세히 추가되고 있다.
|
|
 |
European Court of Auditors (유럽 감사원) |
유럽연합의 예산 집행 내용을 감사하는 기능을 맡고 있는 기관이다. 보고서 및 의견/감사 방법/참고
문헌/신문 간행물/ 예정/최근
뉴스/상호 소통 등의 항목으로 나뉘어 있다. 보고서 등은
연례 보고서, 특별 보고서, 연례 특별 보고서 등을 수록해
놓았고, 각 보고서의 개요도 있어 열람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감사 방법에도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
|
 |
 |
한국/북한 |
Korea.Net : Korean Government Homepage |
국정홍보처 해외홍보원(Korean Information
Service : KOIS)이 운영하는 대한민국 정부대표 영문 홈페이지로서 국가기관, 한국안내, 초점, 분야별 한국소개, 오늘의
한국(국내, 국제, 비즈니스, 예술/행사, 과학/기술, 생활/여행/운동, 여론)과 최근 정부정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청와대 |
청와대가 운영하는 사이트로서 국문과 영문서비스를 동시에 하고 있으며 대통령, 열린 청와대, 자료실, 정상외교, 청와대관람, 행사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 소식란에서 최근 소식보기와 대통령일정을 찾아볼 수 있다.
|
|
 |
외교통상부 |
외교통상부가 운영하는 사이트로서 국문과 영문서비스를 동시에 하고 있으며 외교정책, 경제통상, 조약·국제법, 외교통상부 소개, 장관 동정, 시사자료실, 외교자료실, 국립외교원, 주한외국공관, 관련 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열린 외교, 지역·국별관계, 해외여행정보, 재외국민·영사, 취업정보
등을 찾아볼 수 있다.
|
|
 |
|
|